
개인지원계획 서비스
- 대상 : 입소된 장애인
- 서비스 지원자 : 보호자, 후견인, 자원봉사자, 사회복지사외 관련 자원
- 과정 : 사정,서비스 지원계획수립, 서비스 실행, 점검, 평가
*사례관리 과정
구분 | 내용 |
---|---|
사정 | - 장애인의 꿈, 욕구, 능력, 사회력, 개인력, 장애물 등 파악하는 과정 - 보호자가 있는 경우 : 가정방문하여 보호자와 상담을 통해 장애인의 발달단계, 가족사항 및 가족력, 가정환경 및 원가정 주면에 이용 할 수 있는 기관 파악 - 보호자가 없는 경우 : 前 기관의 자료 참조, 前 기관 담당자와 전화 상담하여 수집 - 생애 주기에 맞는 객관화된 자료 수집 · 학생 : 담임교사와 상담 · 성인 : 직장, 주간보호센터, 복지관 등 담당자와 상담 · 각 치료사 소견서, 치료사 상담 · 필요시 심리검사 실시 - 과거 지원교사와의 상담 및 기록물을 검토하여 자료 수집 - 사정 과정에서의 내용을 종합하여 개인별사정 기록지 작성 |
↓ | |
계획수립 | - 장애인 당사자, 보호자, 후견인, 치료사 참여 필수. 그 외 장애인이 초대하고 싶은 지인 초청하여 회의 진행 - 꿈, 욕구를 토대로 목표 설정 - 목표에 따른 구체화된 서비스 계획 |
↓ | |
서비스 진행 | - 수립한 서비스 실행 - 자원연계(인적, 물적자원)하여 서비스별 실행 |
↓ | |
점검 | - 서비스의 적절성, 적시성, 효과성, 효율성 및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서비스 전달과 실행을 6개월 단위로 점검하는 과정 - 수립된 서비스가 적절하게 실행되고 있는지, 장애인이 기대하는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지,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서비스가 필요하고 적절한지, 장애인의 꿈과 욕구가 변경 되었는지, 장애인의 지원체계가 서비스 제공과 지지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가를 검토 |
↓ | |
평가 | - 점검 6개월 후 평가하는 과정 - 지원된 서비스의 진척사항,서비스 계획 및 횟수, 서비스 활동, 서비스 체계의 효과성, 효율성을 종합적으로 판단 - 서비스 계획과 지원 서비스에 대한 평가 - 목적 및 목표 달성에 대한 평가 - 사례관리 서비스의 전반적 효과성에 대한 평가 - 장애인 만족도에 대한 평가 |